인스타그램에서 보기
90년대 말까지 베트남전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문제는 한국사회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학교에서는 대개 “베트남 전쟁이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에 큰 밑거름이 되었다’라고 배우고, 2019년에 피해 생존자들 진상규명과 사과, 피해 회복 조치를 요구하는 청원에 한국 정부는 “국방부 보유 자료에는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관련 내용이 확인되지 않고, 한국 측의 단독조사가 아닌 베트남 당국과의 공동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나, 한국-베트남 정부 간 공동조사 여건이 아직까지 조성되지 못하는 상황”이라 밝히며 진상조사를 할 수 없다고 발표했습니다.
2020년 4월, 배에 총탄 자국을 갖고 살아온 생존자 응우옌 티탄씨는 한국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경향신문). 이는 1968년 2월,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해병대 군인들이 약 70여명의 베트남 중부 꽝남시 퐁니 퐁넛 마을의 민간인을 학살한 퐁니•퐁넛 마을 사건을 다루었고 (MBC 뉴스), 당시 해병대 소속으로 파병됐던 류진성씨가 학살 정황을 진술해 증언했습니다 (연합뉴스). 변호를 맡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민변)은 국가정보원이 보유하고 있는 당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관련 자료 공개를 요구했고 승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2021년 4월에 공개된 자료는 1969년에 민간인 학살 의혹으로 해당 소대장들이 조사받은 사실을 담고 있었습니다 (경향신문).
공식적인 정부의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 시민사회는 사실을 인정하며 공평한 피해 회복 조치를 위해 활동해 왔습니다. 1999년에는 한겨레 21에 의해 학살 문제가 공론화 된 후 약 1억 5천만 원의 성금이 모금되고 시민단체들이 모여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진실위원회를 창설했으며, 2018년에는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이 진행되었습니다.
베트남 민간인 학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거리로 나선 우리 청소년들은, 문제 해결의 첫 시작이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일본에게 제대로 된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우리의 태도에 모순이 생기지 않도록, 청소년들이 나서서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정부 차원의 사과와 보상을 요구합니다. 다음은 청소년직접행동의 청소년 활동가 (“액티")들의 발언문 중 일부입니다.
청소년직접행동 노주안 (14) 활동가: 모든 사람들과 군인들이 그렇지는 않지만, 여전히 이 학살에 대한 사실을 부인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저는, 그들이 이제 부인하는 것을 그만두고, 잘못을 인정하고, 베트남 학살의 피해자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도 이와 비슷한 일들, 즉 일본 아래에 있으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베트남 민간인들처럼 갑자기 많은 사람들이 다치고 죽었기 때문입니다.
박지훈 (17) 활동가: 베트남 민간인 학살 피해자들은 타국 군대의 만행으로 피해를 입었고, 자신들의 정부로부터 국가폭력의 피해자가 된 것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저는 한국군 베트남 전쟁 민간인 학살문제가 심각한 이유는 학살 그 자체의 피해 뿐만 아니라 피해자를 위한 지원이 매우 부족하고, 많은 이들이 알 수 없어 관심과 위로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말함으로써, 점점 더 많은 사람이 베트남 민간인 학살 문제를 알게 될 것이고, 더 귀기울일 기회를 갖게 될 것입니다. 사람들이 짧게, 찰나라도 우리의 이야기를 듣고 생각해본다면 그 생각은 점점 나아갈 것이고, 점점 그 수가 많아져 그 일에 대한 관심이 되고 여론이 될 것입니다.
청소년직접행동에 대해:
어른들은 대개 청소년들이 아직 미성숙하고 사회적 문제들에는 관심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청소년직접행동'의 청소년 활동가들은 이 편견을 깨며 오늘 우리 사회의 문제를 마주하며 함께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환경, 불평등, 역사적 불정의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며 행동으로 변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청소년직접행동'은 청소년 사회참여 활성화를 고민하던 사람들이 모여 만든 단체로, 청소년 시민이 직접 사회 문제를 찾고, 대안을 실천하도록 돕는 단체입니다. 저희는 청소년이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형성하고, 인큐베이터 역할을 해내는 것을 조직 비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서울시 NPO센터).”
Until the late 1990s, South Korean society knew little of the Korean military's involvement in a civilian massacre during the Vietnam War. Schools would usually teach their students that “the Vietnam War became a great foundation for the economic growth of the Republic of Korea.” By 2019,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ejected a petition calling for an investigation into victims’ history, an apology, and for proper measures to recover any damage. The government responded with their justifications, including that: the details of the massacre of civilians have not been confirmed, this situation would require a joint investigation with the Vietnamese authorities rather than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However, they claimed a joint investigation was impossible because conditions for such an investigation to happen were not yet created.
In April 2020, Titan Nguyen, a survivor with a bullet scar present on his stomach, filed a lawsuit for damages against the Korean government (Kyunghyang Sinmun). It mentions the February 1968 case involving both Phong Nhi and Phong Nhat villages in which marine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massacred about 70 civilians in those villages located in Quang Nam City, in central Vietnam (MBC News). Ryu Jin-seong, who was dispatched to the Marine Corps at the time, testifi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massacre (Yonhap News). At that time, the 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Minbyun), on the defense side, demanded that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disclose data related to a recent civilian massacre and won. Thus, the documents released in April 2021 confirmed the fact that the platoon lead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alleged civilian massacre that took place in1969 (Kyunghyang Newspaper).
Although official government action has yet to take place, Korean citizens have acknowledged historical facts and are working towards a more equitable recovery measure. In 1999, after the massacre and its issues became public by Hankyoreh 21, about 150 million won was raised and civilian groups gathered to establish the Vietnam War Civil Genocide Truth Committee. By 2018, the <Citizen's Peace Court> was held to unearth the truth behind the Korean military’s involvement in the civilian massacre, which took place during the Vietnam War.
We, the younger generation, believe the first step towards resolution is a proper investigation to reveal the truth. In order to avoid contradictions between our attitudes when demanding a proper apology and compensation from Japan, and to avoid history from repeating itself, the younger generation is urging the government to uncover the truth and demand apologies and compensation for the Vietnam civilian massacre. The following are excerpts from the statements of ‘Now Youth Action’ youth activists (“acti”).
‘Now Youth Action’ activist Noh Joo-an (13): Not all people and soldiers are like that, but there are still people who deny the facts about the massacre. Personally, I feel like the denial should stop. They should admit their mistakes and apologize to the victims of the Vietnam massacre since we also had similar experiences. Namely, many people died while Korea was occupied by Japan, and countless of people died, which coincides with the Vietnamese civilian massacre.
‘Now Youth Action’ activist Park Ji Hoon (16): The victims of the Vietnamese civilian massacre suffered due to the brutality of foreign military forces, and have fallen victim to the country’s government’s state violence. In this regard, the reason why the issue of the civilian massacre during the Vietnam War committed by the Korean military is serious is not only the damage caused by the massacre itself, but also the lack of support for the victims, and the lack of attention and solace from others. The more vocal each of us are, more people will learn of the issue of the Vietnamese civilian massacre,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more to listen. If people listen to our story and think about it, even if it’s for a brief moment, the amount of people who will consider this will increase, and become a matter of interest and more open to the public.
About ‘Now Youth Action’:
Many adults believe that adolescents either don’t know or don’t care about social issues. But, the activists of ‘Now Youth Action’ are challenging this stereotype. These youth activists work to create change as citizens who face and live through these issues together, engaging with various social issues regarding the environment, inequality, and historical injustice.
“‘Now Youth Action’ is an organization created by people who found inspiration in revitalizing youth social participation–one that helps the youth find social problems and put them into practice. Our organization’s vision is to create a platform where young people can participate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act as an incubator (NPO Center in Seoul).”
황재하. “베트남 파병 군인 "한국군, 민간인 대량 학살" 법정 증언.” 연합뉴스. 2021년 11월 16일. https://www.yna.co.kr/view/AKR20211116157800004
유설희. “‘한국군의 베트남 민간인 학살’ 관련 자료 나왔다.” 경향신문. 2021년 4월 9일.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104092146005#c2b
김정인. “"베트남전 학살 기록 공개" 판결…진실 드러나나?” MBC 뉴스. 2021년 3월 26일.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130401_34936.html
박지훈. “미안해요, 베트남 박지훈 액티 발언문.” 청소년직접행동. 2021년 12월 11일. https://nowyouthaction.wixsite.com/website/post/%EB%AF%B8%EC%95%88%ED%95%B4%EC%9A%94-%EB%B2%A0%ED%8A%B8%EB%82%A8-%EB%B0%95%EC%A7%80%ED%9B%88-%EC%95%A1%ED%8B%B0-%EB%B0%9C%EC%96%B8%EB%AC%B8
노주안. “미안해요, 베트남 노주안 액티 발언문.” 청소년직접행동. 2021년 11월 26일. https://nowyouthaction.wixsite.com/website/post/%EB%AF%B8%EC%95%88%ED%95%B4%EC%9A%94-%EB%B2%A0%ED%8A%B8%EB%82%A8-%EB%85%B8%EC%A3%BC%EC%95%88-%EC%95%A1%ED%8B%B0-%EB%B0%9C%EC%96%B8%EB%AC%B8
청소년직접행동. “미안해요, 베트남.” 2021년 11월 26일. https://nowyouthaction.wixsite.com/website/post/%EB%AF%B8%EC%95%88%ED%95%B4%EC%9A%94-%EB%B2%A0%ED%8A%B8%EB%82%A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