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에서 보기
커뮤니티매핑센터는 지역사회 구성원과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안전, 복지, 장애인, 실업, 교육 등에 대한 분야에서 장벽없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그 중 베프지도는 ‘베리어프리 지도’의 줄임말로 교통 약자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다. 장애인이 공공시설과 문화시설에 대한 접근 정보 부족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근 가능한 장소를 지도에 표시하고 공유하는 캠페인이다. 이를 통해 장애인뿐만 아니라 고령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이용가능 시설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한다.
알 권리 운동을 하는 시민단체로, 정보화의 대중화를 통해 시민의 알 권리를 실현하고 사회전반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여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한다. 국가의 주인은 국민이지만, 대다수의 국민들은 국가가 생생한 정보에서 배제되고 있다. 정보공개와 기록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관련 법과 정책이 제도화되었지만, 여전히 기관과 단체 안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시민의 알 권리와 정책의 투명성과 책임성 또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필요한 정보에 대해 자연스럽게 활용하여 국가 정책 과정에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정보 인권 센터는 점점 더 디지털화되어가는 우리의 일상에서 이슈가 되는 것들을 주요 연구 주제로 다루고 있다. 최근 연구 문건을 보면 얼굴인식, 코로나 19, 인공지능에 관한 다양한 연구 자료가 있다. 우리는 이제는 오프라인에서의 인권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의 인권이 더 중요해지는 시대가 오게 될 것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되면서 그 속에서 다양한 개인정보와 정보들이 지금도 어딘가에 존재하고 보관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 있어 할 만한 주제의 연구를 한 ‘정보 인권 센터’의 자료를 보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진보네트워크센터를 통해 정보화 사회에서 우리가 겪을 수 있는 감시, 억압의 위험을 경계하고 정보인권을 보호함으로써 사회운동의 정보화를 이루고자 한다. 개인정보 관련 정책에 대하여 목소리를 내는 등 정보인권의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보 인권 자체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오병일 대표님의 인터뷰나 진보네트워크센터를 통해서 정보 인권이 무엇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선정하게 되었다.
3통의 부재중 전화만 남긴 채 사라져버린 딸을 찾기 위해 아빠 데이빗은 경찰에 신고를 하고, 본격적으로 경찰의 조사가 시작되지만 사건을 해결하기는 너무 어려웠다. 하지만, 딸 마고의 노트북에 있는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등의 SNS에서 결정적인 단서를 찾게 되면서 진실이 밝혀지게 된다.
정보가 담겨있는 인터넷, SNS, 앱 등을 이용해서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이 진실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장점과 사람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기에 해롭게 적용될 수 도 있다는 단점을 한번에 보여줌으로써 정보 인권을 색다른 관점에서 다룬 영화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귀신같이 알아채고 이에 맞게 내 피드를 구성해주는 알고리즘이 왜 문제일까? 이에 관한 생각 거리를 던져준다. SNS는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사람들의 관심사를 유추하고 이에 맞는 게시물과 광고들을 추천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중독되고, 편향적인 정보만을 접하게 된다.
범죄 대상에 대한 감시만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경찰 내 특수조직 감시반. 동물적인 직감과 본능으로 범죄를 쫓는 감시 전문가 ‘황반장’(설경구)이 이끄는 감시반에 탁월한 기억력과 관찰력을 지닌 신참 ‘하윤주’(한효주)가 합류한다. 그리고 얼마 후 감시반의 철저한 포위망마저 무용지물로 만든 범죄가 벌어진다. 단 3분만에 한 치의 실수도 없이 벌어진 무장강도사건.
이 작품은 한국 경찰 감시팀의 이야기를 화려하게 그려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우리의 삶이 국가에 의해 어떻게 감시받고 있는지에 대해 상상해 볼 수 있게 한다. 영화에서는 실제 CCTV 통합관제센터와 같은 경찰 수사팀에서 사건 현장 주변의 모든 CCTV를 살펴본다. 더불어 주민번호, 카드내역 등의 개인정보 유출과 도청, 미행 등 아주 현실적인 내용을 담았다. 감시반의 활동 영역은 범죄자들에게만 향하지만, 이것이 민간인에게로 옮겨갔을 때 얼마나 큰 파장을 일으킬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우리의 안전을 위해 설치한 CCTV가 우리를 감시하는 도구로 바뀌어 우리의 일거수일투족이 완전히 노출된다면 어떨지 상상해보게 만드는 작품이므로 선정하게 되었다.
주인공 ‘룰라’는 1인 미디어 방송을 진행하는 BJ다. 하지만 어느 날 자신의 순위가 떨어짐에 위기감을 느끼고 더 자극적인 콘텐츠를 생각하다 BJ들이 사는 ‘캠걸 클럽하우스’에 들어가게 된다..... (생략) 어느 날 ‘룰라’는 정신을 잃고 쓰러지게 된다. 정신을 차린 ‘룰라’는 자신과 똑같이 생긴 사람이 방송하는 모습을 본다.
이 영화는 딥페이크 영화입니다. 딥페이크는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고 배우는 인공지능 영상물입니다. 즉,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방송을 하는 ‘룰라’의 영상을 수집해 인공지능과 결합해 하나의 AI를 만듭니다. 룰라를 자신의 인권, 얼굴, 정보까지 컴퓨터에 다 빼앗깁니다. 요즘 시대에 필요한 주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정보인권에 대한 국제동향 및 기준을 소개하고 정보인권 현황과 국가의 정책 방향을 제시한
정책 보고서이다. 정보인권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종합하여 발간하기 위하여 전문가, 시민단체 등 정보인권과 관련된 수많은 사람들과 함께 논의한 책이라는 점에서 인상 깊었다. 또한 유형별 정보인권에 대해 제시하여 각 정보인권의 현황과 이슈를 다루고 있으며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이해를 한층 도와줄 수 있어 교재임에도 불구하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책 「십 대, 인권의 주인공이 되다!」는 십 대에게 전반적인 인권의 내용을 알려주는 서적이다. 아직 어리다는 이유로, 인권에 대해 논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어른들로 인해 아이들은 자신의 인권이 무엇인지 인지하지 못한다. 특히, 디지털 시대가 도래한 만큼 빠르게 인권은 변화한다. 디지털에서 이루어지는 인권도 다루는 해당 책은 더더욱 청소년에게 필요한 책이라 생각한다.
청소년 노동자, 만 18세 선거, 다문화 청소년, 학교 폭력뿐만 아니라, 디지털 인권 등을 십 대에게 이해하기 쉬운 내용으로 다가가는 서적.
The Community Mapping Center intends to 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It strives to create a barrier-free world in the fields of safety, welfare, disability, unemployment, and education. BaFee (barrier-free) maps work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those with mobility impairments. It is a campaign to map and share accessible facilities, addressing the accessibility issues that those with disabilities face in their daily lives, due to lack of access to public and cultural facilities. Through this, not only the disabled but also those with mobility impairments such as pregnant women and the elderly will be able to better navigate available facilities.
The organization realizes citizens' ‘right to know’ through the popularization of information transparency, as it aims to increas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cross society.
A nation belongs to its people, but the majority of people are unable to access the country's collection of information. Related laws and policies have been institutionalized as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cord management have become more important, but a tendency to limit the access of information still exists within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sations. Furthermore, civil rights and policy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re also not guaranteed to citizens. We must cultivate a culture in which citizens can participate directly in the national policy process by consuming the information they need.
The Center for Information and Human Rights addresses issues in our increasingly digitized daily lives as a major research topic. According to a recent study, there are various research materials on face recognition, COVID-19,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 are now entering an era where human rights are important not only offline, but also in the digital world. As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become widely distributed, various pieces of personal information exist, floating around in the digital space. I was able to gain a lot of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and Human Rights Center, which conducts research on topics that many may be interested in.
The Korean Progressive Network Center strives to achieve the informatization of social movements by guarding against the dangers of surveillance and oppression that we face in an information society and protecting information rights. He and his organization are making efforts to protect the human right to information by voicing policie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 chose him in this piece because I was able to learn more about what information rights were through his interviews and the Center’s work.
In search of his daughter, who disappears after having only left three missed calls behind, David goes to the police and the investigation begins, but the case is too difficult to solve. However, the truth comes to light when he uncovers crucial clues on social media such as Google, YouTube and Facebook on his daughter Margot's laptop.
I chose the movie because I thought information rights were dealt with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by showing the advantages of solving problems using the Internet, social media, and other apps containing information and the disadvantage of being a potential threat to all people due to its nature of collecting personal data.
This thought-provoking movie asks why the algorithm that knows exactly what you want and configures your feed to match your likes could be problematic. Social media collects big data to infer people's interests and recommend appropriate posts and advertisements. As a result, people get addicted and encounter only biased information.
A special organization watch team in the police which specializes only in monitoring criminal targets. Ha Yoon-joo (Han Hyo-joo), a rookie with excellent memory and observation, joins the watchdog team led by “Hwang Ban-jang" (Seol Kyung-gu), a surveillance expert who pursues crimes with animal intuition and instinct. Soon after, there is a crime that renders even the thorough siege of the surveillance team useless. A case of armed robbery in just three minutes without an inch of a mistake.
This film illustrates the story of Korean police surveillance operations, and allows us to imagine how our lives in Korea are monitored by the government today. In the movie, the surveillance squad monitors all the CCTVs near the scene of the crime, as police squads do in real life through central CCTV centers. The movie also depicts highly realistic crimes such as SSN and credit card number thefts, and methods of operations such as wiretapping and tailing. The surveillance team’s activity is used to monitor criminals, but we can easily assume the effects it would have if their efforts were focused on the civilian population. I chose this piece because it provokes thoughts about what would happen if CCTVs, the very cameras installed for our safety, are used to monitor us and reveal our every move.
The main character "Lola" is an online streamer who hosts a one-person media broadcast. One day, however, she feels a sense of crisis as her ranking drops and thinks of more provocative content, which provokes her to enter the streamer house "Camgirl Clubhouse.” One day, Lola loses her consciousness and collapses. After coming to her senses, she sees a person who looks just like her on a stream.
This movie discusses deepfakes. Deepfakes are video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where computers learn and improve by themselves. In other words, the video of 'Lola', which broadcasts provocatively and suggestively, is collected and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o create a piece of AI. Lola's human rights, face, and information are all stolen by the computer. I think this is a necessary topic to shed light on in this day and age.
The report introduces international trends and standards for information rights and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rights and national policy directions. The text was impressive in that it was a book that was discussed with many people related to information human rights, such as experts and civic groups, to comprehensively publish various discussions on information human right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ights by type are presented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each information right, and various examples can help further understand it, which was interesting to read despite it being a textbook.
The book "Teens: Heroes of Human Rights!" informs teenagers of human rights content in general. Many children are not aware of what their human rights are because they are still young and adults claim that human rights are difficult to discuss. In particular, human rights are prone to change as quickly as the digital age arrived. I think the book that deals with digital human rights is even more necessary for teenagers.
The book makes approachable topics of digital human rights, youth workers, 18-year-olds participating in elections, multicultural youth, bullying, etc. to teenagers.
패션프루트 홍보단 1기
주채민 신은진 이예람 김동현 정서진 서진주 김민재 조해민 김소담 양다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