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에서 보기
도서:
주채민: <침묵의 봄> - 레이첼 카슨
새로운 합성 화학물질인 DDT, 즉 농약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물질이라는 증거를 제시했다. 인간을 위해 사용한 살충제가 다시 인간에게 돌아오는 최악의 부메랑이라는 존재인 것이다.
침묵의 봄은 누구나 들어본 책일 것이다. 「침묵의 봄」은 미국에 있는 랜덤하우스 출판사가 선정한 100대 논픽션 서적 중 5위로 선출된 이력이 있다. 당시의 서적을 출판한 레이첼 카슨은 ‘여성의 단순한 히스테리’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되는 서적이기도 하다. 해당 시기에는 많은 비난을 받았던 책이 현재는 위대한 책으로 남아있다.
김소담: <목소리를 드릴게요 中 리셋> - 정세랑
소설에서는 과거를 바꿀 수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는 이 세상을 ‘리셋’할 수 없으니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를 더 소중히 여길 필요가 있다.
처음으로 환경에 대해서 제대로 생각하게 해준 책이라 선택하였습니다. SF적인 요소가 들어가 있어 허구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오히려 이런 이야기가 읽는 사람에게 실제보다 더 큰 충격을 주어 현실을 되돌아볼 수 있게 하는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또한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단편 소설이라 많은 분들이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서진: <무해한 하루를 시작하는 너에게> - 신지혜
영국에서 시작된 ‘축소주의 운동’ 그리고 ‘비건’ 여러분들이 지금 먹고, 사용하는 물건 10%만 줄여도 동물 질병, 학대 그리고 기후변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여러분에게 다가온다.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빠른 일상에서 ‘나’도 겨우 챙기는데 환경에 최적화된 완벽한 일상을 살 수 있을까? 맞다. 완벽한 일상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나’는 부담 없는, 죄책감 없이 가능한 일들을 시작하려고 한다. 휴지 한 칸 줄이고, 고기 한 점 줄이고, 옷 한 벌 줄이기로 한다.
욕실 플라스틱은 화학 덩어리다. 플라스틱은 바다로 흘러, 시간이 지나 우리 몸속에 흡수된다. 바닷물에 아주 작게 쪼개진 플라스틱을 해양생물들이 먹고, 그 생물을 먹은 물고기들이 우리 가족 식탁에 오른다.
옷도 마찬가지다. 패션 산업은 전 세계 5대 오염 산업이다. 전체 섬유 중 3분의 1을 차지하는 폴리에스터는 요염 산업 1위인 석유에서 비롯된다. 그 과정에서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고 그다음 강한 화학 처리 공정을 거친다. 그리고 모피, 동물시험도 마찬가지다. ‘나’ 또한 일회용 컵보다 텀블러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많은 사람이 ‘한 명의 완벽한 비건보다 열 명의 비건 지향인이 더 큰 변화를 만든다’는 것을 인지했다.
무언가 구매할 때마다 ‘포장 빼고’를 요청하고 ‘나’의 에코 라이프는 지금도 시행착오를 반복하고 있다.
먼저, 신지혜 작가는 ‘나투라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사람이다. (‘나투라 프로젝트’는 자연과 함께 호흡하며 건강한 문화를 만드는 커뮤니티다) 이 책은 도시에 살면서 무해한 것들은 담은 책이다. 지구를 위해 할 수 있는 일과 해야 하는 일을 담았다. 그리고 화학성분 줄이기, 플라스틱 줄이기, 식생활, 쇼핑 등 책을 넘어서 커뮤니티 활동까지 지속 가능한 일상을 공유한다. 즉, 환경을 아끼고 실천하면서 긍정적인 변화를 사람들과 나누며, 여러분에게 무해한 하루를 선물한다.
멀티미디어:
양다영: <긴 '집콕'에 늘어난 쓰레기…올바른 분리 배출법> - 연합뉴스
현재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소비가 늘어나면서 일회용품을 자주 사용한다. 분리수거만 잘해도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다.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많은 사람이 분리수거의 중요성은 익히 알고 있지만, 제대로 된 분리수거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저는 이 영상을 통해 분리수거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분리수거를 ‘잘’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가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더불어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작은 일부터 실천한다면 더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습니다.
신은진: <모노노케 히메 (Princess Mononoke)>
인간에 대한 증오와 원망이 가득찬 재앙신(타타리가미)는 차기 족장인 아시타카의 마을을
공격하게 되고 재앙신을 무찌른 아시타카는 대가로 죽음의 저주를 받게 된다. 이후 위험을 걱정하며 마을을 떠난 아시타카는 자신이 인간임을 부정하며 동물들과 함께 자연에 살고 있는 모노노케 히메 산과 만나게 되는데, 자연을 지키려는 산과 자연을 파괴하려는 인간들, 그리고 서로의 전쟁을 말리려는 아시타카의 갈등을 다루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영화 속의 인간들은 새로운 문명을 개척하기 위해 자연을 파괴하려 하고, 주인공인
산과 동물들은 자연을 지키기 위한 모습들을 보여줍니다. 인간과 자연의 전쟁이 현실 속의 실제
모습은 아니지만, 지금껏 우리가 항상 환경과 겪어온 문제들을 영화화해서 공존에 대한 이야기를
훌륭히 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증오-복수의 관계가 반복되는 악순환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는 것 같아서 의미가 깊은 작품이라고 느꼈기 때문에 환경이라는 주제 안에서 이
작품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조해민 <산호초를 따라서 (Chasing Coral)>
지구온난화로 인해 바다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산호초들에게 위기가 찾아온다. 빠른 속도로 사라져가는 산호초들의 현실과 이를 알리기 위한 사람들의 노력이 담긴 다큐멘터리.
산호초의 백화현상에 대해 몰랐던 사람들도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는 다큐멘터리이다. 이러한 현상을 알리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다큐멘터리 제작진들과 과학자들의 모습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움직인다. 또한, 찬란한 빛깔을 뽐내던 산호초들이 색을 잃어가며 점차 죽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상황의 심각성을 일깨운다. 산호초라는 개체의 위기를 넘어 생태계 위기의 가능성까지 이야기하며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좋은 다큐멘터리이다.
서진주 <투모로우>
<투모로우>는 지구 곳곳에 이상기후 증세가 나타나게 된 상황에서 주인공 잭(참고로 잭은 기후학사!)이 앞으로 일어날 재앙으로부터 아들을 구하러 가는 상황을 담고 있어요. 최대한 사람들을 남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관료들과 갈등을 엮으며 이동을 시작한 사람들이 혼란에 휩싸이게 되는 내용이죠. 인류를 구조할 방법을 제시하는 잭의 모습과 인류가 지구의 대재앙을 극복할 수 있을지에 관한 것이 영화에 흥미를 느끼게 해요.
제가 <투모로우>를 추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영화에서 환경/재난에 대한 묘사보다 스토리 중심으로 영화를 제작하여 이러한 재해들이 발생하였을 때 나타나는 인간의 심리에 더 초점을 맞춰 영화를 볼 수 있었던 것 같아 인상깊었기 때문이에요. 환경과 지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들기도 한 영화였고, 제가 봤던 재난영화들 중, 가장 스케일이 크고 재미있게 보지 않았나 싶어요. 하나의 재난, 재해가 일어나면 다른 재난과 재해도 줄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자각시켜준 영화라고 생각해요.
기업:
이예람 <더 험블 The Humble Co.>
스웨덴에서 시작된 The Humble Co. 는 위생용품 시장에서 작은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지구 환경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구강 질환으로 인한 고통과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험블 브러쉬를 개발했습니다. 험블 브러쉬는 일반 플라스틱 칫솔을 대체할 수 있는 분명한
대안입니다. 우리의 생산과 소비 방식을 변화하고, 구강 관리 제품이 절실하게 필요한 사람들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험블 제품 판매의 수익금은 어려움에 처한 아이들에게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위해 사용됩니다. 치과 전문의들과 학자들의 모임인 험블 스마일 재단 (Humble Smile Foundation)은 자원 봉사 팀 개발 및 교육, 연구, 손 씻기 캠페인 및 긴급 구강 관리 등의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은 환경오염의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친환경 소재의 물품을 구매하는 것은 실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고,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환경 관련 캠페인과 후원 등에 참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의 소비 방식이 점차 변화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사람/기관:
김동현 <김익중 교수>
동국대 의대 교수로 재직하던 중 경주환경운동연합을 통해 반핵운동을 시작했다. 탈핵에너지
교수모임의 집행위원장, 반핵의사회 운영의원장 등을 역임했다. 탈핵사회를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원자력 분야 전문가이다.
학교 교육에서는 원자력 에너지가 가장 효율적이며 대체가 불가능하다고 가르쳐왔지만, 그렇지 않고 오히려 위험성이 높으며, 다른 에너지로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밀양 송전탑, 월정 신고리 등 지역주민들에게는 삶의 문제이며 직접적으로 피부에 와닿는 문제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특정 지역에 건설되는데, 어쩌면 우리는 그곳 주민들의 생명을 담보로 에너지를 얻고 있는 것은 아닐까.
김민재 <환경정의단체>
환경정의 단체는 1992년부터 활동해온 단체로 현재 세계에서 벌어지는 환경문제를 사회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지금의 환경 문제는 지배와 억압의 세계관으로 성장 중심의 경쟁하는 문명에서 비롯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 극복을 위해서 인간과 자연 사이에서 불평등한 상황을 직시하고, 우리 사회의 환경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이 모인 단체입니다.
환경의 문제를 단순하게 환경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사회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현재 세계의 여러 나라도 환경에 대해서 관심이 많이 있고, 기후협약 및 탄소 배출 감소 등 많은 대책을 세우고 있지만, 다른 나라 보다 뒤쳐지지 않고 강해지기 위해 군비 경쟁을 하고, 다양한 산업을 먼저 선점하기 위해서 이러한 환경의 문제는 뒤로 밀리게 되는 현실을 인식하고 환경문제를 사회적인 관점으로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 하여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주채민 <Silent Spring> by Rachel Carson
This book posed evidence that DDT, a pesticide, was a key chemical in polluting the environment—that the pesticide used to improve people’s lives was the very boomerang coming back to hurt us.
I’m sure many have heard of Silent Spring. While opponents of Rachel Carson treated the work as “simple female hysteria,” Silent Spring has since become a pivotal piece that led the world to reevaluate how we thought of the environment. Silent Spring has been ranked fifth in the Modern Library List of Best 20th Century Nonfiction.
김소담 <Reset (From I’ll Give You My Voice)> by Serang Chung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ast in novels, but reality isn’t so easy. We cannot ‘reset’ this world, so we must change how we treat the Earth.
I chose this novel because it was the first book that led me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environment. While it is a work of fiction with sci-fi elements, the fictionality is used in a way that shocks the audience, giving us a chance to look back at our own reality. In addition, it’s a short read, which makes it much more accessible.
정서진 <For You, Starting Your Harmless Day> - Ji Hye Shin
The ‘reducetarian movement’ that began in Britain and ‘veganism’ – if we reduced just ten percent of the things we eat and use, we can facilitate positive changes in animal disease, cruelty, and climate change. You might wonder—it’s difficult to take care of even myself in this fast-paced world. Will I be able to live a lifestyle optimized to the environment? The answer is no—it’s impossible to live everyday perfectly. But I’m choosing to do the things I can do without overburdening myself, without guilt-tripping myself. Using one less tissue, eating one less piece of meat, not buying that one piece of clothing.
The plastic in the bathroom is full of harmful chemicals. The plastic goes out to the sea and is reabsorbed into our bodies. The microscopically small pieces of plastic are eaten by marine life, and larger fish eat them. These fish end up on our families’ dinner tables.
The same goes for clothes. Fashion is among the top five polluter industries in the entire world. Polyester, which accounts for one third of all fibers used, is generated from fossil fuels—the number one polluter.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polyester, much carbon dioxide is produced, and even harsher chemicals are used to process the fiber. The same goes for animal fur and animal experiments. I’ve started using a reusable tumbler instead of one-time plastic cups, and as a result have realized that ten people who lean vegan can make a larger impact than one perfect vegan.
My eco-friendly life still goes through trial and error, as I request to the cashier even today that there’s no need to package what I’ve bought.
Ji Hye Shin operates the “Natura Project,” a community project where people can communicate with nature and foster a healthier lifestyle. This book narrates what harmless things people can and should do for the environment while living in the city. It also shares methods to reduce chemical waste, reduce plastic waste, improve eating habits, etc., so that readers can continue taking part in this environmentally friendly community after putting down the book. In short, it gifts you a “harmless day,” as you can hold the environment dear and take action to participate in the positive changes that come from simple changes in your lifestyle.
양다영 <Increase in trash from long days of social distancing at home… best practices for recycling> - Yonhap News
The increase in socially distanced consumerism due to COVID-19 has led to a corresponding increase in single use items. If done properly, recycling can reduce the amount of trash produced—we should sort our trash properly.
While many know the importance of proper recycling, many also don’t know that there is a proper way to recycle. I thought that this was a good opportunity to share not only the importance of recycling, but also recycling ‘well.’ I also wanted to share the message that if we stay alert to environmental issues and start with the smallest actions, we can work towards a better country to live in.
신은진: <모노노케 히메 (Princess Mononoke)>
A Tatarigami, full of hate and resentment towards humans, descends upon Ashitaka’s village—while Ashitaka fights off the spirit before it reaches the village, he is corrupted by a deadly curse. Told that he cannot return to the village, Ashitaka leaves. On his journey, he encounters San, who lives with the animals in the forest denying her humanity. Princess Mononoke is centered around the conflict between San, who tries to preserve nature, the people, who seek to destroy it, and Ashitaka, who tries to prevent war.
The humans in the movie are shown wanting to destroy nature in order to colonize the wilderness, while San and the animals try to protect nature. While the war between human and nature is fantastical, the movie is an amazing artistic expression of coexistence. I also chose this movie to represent the theme of ‘environment’ as there are morals to be found regarding the death spiral of resentment and revenge as well.
조해민 <산호초를 따라서 (Chasing Coral)>
As the Earth warms due to climate change, risk finds coral. This documentary captures the reality of disappearing coral and the efforts of people who are trying to spread the news.
This documentary easily explains the coral bleaching phenomenon even for those who have never heard about it before. The work of the documentary staff and scientists working hard to make the phenomenon known resonates with the viewers. Watching the beautiful coral lose its colors and die shows the severity of the situation. Chasing Coral discusses the crisis of ecosystem breakdown for the environment as a whole, not just coral.
서진주 <투모로우 (The Day After Tomorrow)>
The Day After Tomorrow tells the story of Jack, a climatologist, who must go save his son as a climate shift begins to happen makes the Northern Hemisphere uninhabitable. The struggle between bureaucrats and the main cast as people begin to migrate south engages the viewer as we try to figure out whether humanity can survive this catastrophic natural disaster.
I’m recommending The Day After Tomorrow as it focuses more on the human psyche as disasters occur, rather than focusing on graphic natural disaster CGI. The movie piqued my interest about the environment and the Earth we live in, and it was entertaining to boot. It also illustrated how one disaster can trigger a series of other disasters.
이예람 <더 험블 The Humble Co.>
The Swedish company The Humble Co., leads a small revolution in the sanitary product market. It uses biodegradable materials to create the “Humble Brush,” a toothbrush that helps protect the environment and maintain oral health. The Humble Brush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plastic toothbrushes. Humble products help with changing our producing and consuming habits and assist those in dire need of oral care products. The company donates products and a portion of profits to the Humble Smile Foundation, a foundation of dental specialists that assist volunteer networks, research and development, public health campaigns and emergent dental care, amongst other activities.
Excessive use of plastic is one of the reasons for environment pollution. Buying eco-friendly products is relatively easy to do in our everyday, and it’s great that we can minimize our effect on the environment that way. I hope that in addition to participating in environment-related campaigns and donations, we as consumers can also change our spending habits for the better.
김동현 <김익중 교수 Professor Ik-Joong Kim>
Professor Kim began advocating for anti-nuclear energy with the Gyeongju Environment Movement Alliance during his term as medical professor at Dongguk University. He is a leader and advocate for a post-nuclear world, serving as board member of groups such as Professors For Post-Nuclear and Doctors Against Nuclear.
While I learned in school that nuclear energy is the most cost efficient and is irreplaceable, I learned through his work that there are dangers that should be acknowledged with nuclear energy and that other forms of energy can replace nuclear power. As we saw with the protests against the Miryang transmission towers (towers that were built to connect electricity from the nuclear reactors at Shin-Kori to Seoul) and Woljung Shin Kori nuclear power plants, these are issues that affect local residents directly. To use nuclear-derived power, the reactors have to be built somewhere—perhaps we are receiving energy at the cost of the local residents’ lives.
김민재 <환경정의 단체 (Organization for Climate Justice)>
This organization began working in 1992 to examine the climate issues happening worldwide from a sociological point of view, evaluating the issues with climate we have today as a product of a growth-and-competition based society structured through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The organization is a collective of individuals who believe that we must first recognize the inequalities present between people and na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struggles present in our own society.
While many countries are working towards solution towards the climate crisis, through climate accords or carbon emission reductions, often climate issues are left in the backseat as our country prioritizes military and economic development over others. I chose this organization as I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limate crisis in a more social way, to combat this way of thinking that places climate issues as less important.
Written by 글: 주채민, 김소담, 정서진, 양다영, 신은진, 조해민, 서진주, 이예람, 김동현, 김민재 - 패션프루트 홍보단 1기